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달러환율7

[생각정리 #26] VOO QQQ SCHD 그리고 원달러환율의 지난 5년 VOO QQQ SCHD 그리고 원달러환율의 지난 5년 뭐 ETF들의 성과야..그런가보다 하지만 눈이 간 것은 환율입니다. 지난 5년간 환율이 약 18.5%.. 연복리로 3.5%씩 상승했습니다. 저는 아래의 두 부분에 집중했습니다. 1) 뉴노멀- 원달러 환율의 지속적인 상승은 원래도 노말이었을 뿐더러, 이제는 1,100원대 환율은 보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천장이었던 1,400원대도 계속 두들기다 보니 환율에도 뉴노멀이 펼쳐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환노출, 달러자산을 선호하는 이유) 2) 원화 = 화폐가치하락 x 환율 상승 곱으로 녹는다- 해외여행 안 가고, 이민 안 가더라고.. 달러는 우리 삶에 녹아있습니다. 석유, 원자재의 가치에 달러가 녹아있죠. 그런 측면에서 원화는 인플레이션에 한.. 2024. 11. 8.
[생각정리 #19] 원달러 환율 변화의 변인 3가지 원달러 환율 변화의 변인 3가지 1. 미국과 한국의 경제 성장- 기축통화 여부를 떠나서 일반적으로, 앞으로의 경제 성장이 더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의 통화가 더 강하다. 미국과 한국 누가 더 강하고, 강했으며, 더 강해질까? 2. 달러 공급량- 달러의 공급량이 늘어나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고, 반대로 공급량이 줄어들면 달러의 가치가 높아진다. 달러 통화량에 집중해야하는 이유이다. 3. 세계 경제의 향방- 경제가 위험에 빠지는 순간, 안전자산이자 기축통화인 달러의 선호도는 크게 높아진다. 또 세계 경제가 위험에 빠지는 순간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한국은 이미 기절이다. 환율을 결정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있지만, 그 변인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크게 다르지 않다. 내가 매달 열심히 일해서 번 원화를 달러화로 바.. 2024. 11. 7.
[생각정리 #17] 동남아 가서 살면 FIRE 하기 쉽다고? 동남아 가서 살면 FIRE 하기 쉽다고? 한 때 파이어에 꽂혀 강환국 작가의 FIRE를 재미있게 읽고 관련된 영상들을 많이 찾아봤다. 그 중 어떤 이는 한화로 약 7억원 정도를 가지고 필리핀으로 이민을 가서 여유롭게 산다고 했다. 7억원은 큰 돈이지만 그렇다고 평생을 놀고 먹을 돈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다만 나라의 물가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돈이면 필리핀에서는 충분히 FIRE를 할 수 있었다. 아내에게 물었다. 우리 집 팔고 필리핀가서 FIRE할래? 아내는 한국이 좋단다. 어쩔 수 없이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우리나라를 필리핀으로 만들면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나는 미국주식에 빠졌다. 우리나라의 물가 성장, 성장률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과 미국 자산에 돈을 투자하면 상대.. 2024.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