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9

[생각정리#3] 얼마를 저축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오늘은 짧은 글로 돌아왔습니다. 저는 학교에서 5학년 아이들에게 경제를 가르칩니다. 그 과정에서 나왔던 저축과 관련한 이야기를 글로 써보고자 합니다.#1. 우리는 언제부터 돈을 벌고, 언제 돈을 못 벌게 될까- 주변을 둘러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25세~30세 사이에 취업을 합니다. 그리곤 55세~60세 즈음이면 은퇴를 하게 됩니다. 그럼 우리가 돈을 벌 수 있는 시간은 약 30년에서 35년 정도가 됩니다. 이또한 제법 희망적인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 청년들의 사회 진출 나이는 점점 늦어지고 있고, 은퇴시기는 점점 당겨지고 있습니다. 물론 은퇴를 하고 나서 재취업에 나서는 장년, 노년층이 많습니다만 기존의 급여 수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의 소득을 가져오는 것이 대다수일 것입니.. 2024. 5. 26.
[#5]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몰빵금지! 포트폴리오 이론)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이번 편은 지난 4편과 특히나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혹시나 아직 4편을 보지 않으셨다면 꼭 보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경제공부/경린이 친구들을 위한 시리즈] - [#4] 경기는 순환한다. 오르면 떨어지고, 떨어지면 오른다. (결국은 오른다.) [#4] 경기는 순환한다. 오르면 떨어지고, 떨어지면 오른다. (결국은 오른다.)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오늘은 경린이 친구들을 위한 시리즈 글 4편으로 돌아왔습니다. 1편: 인플레이션, 화폐가치의 하락 - 자산은 우상향할 수 밖에 없다. 2편: 복리의 마법 - 장기간 복리를 kyuny-jinny.tistory.com 1. 하이리스크-하이리턴, 로우리스크-로우리턴 - 가끔 지하철에 타면 이상한 광고가 있더라. "원금보.. 2024. 4. 10.
[#1] 인플레이션(물가인상)과 화폐가치의 하락 (자산을 가져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이 게시판을 통해서는 경린이 친구들을 위한 시리즈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친구들과 직장에서의 선후배들과 식사 자리, 모임에서 경제 이야기를 할 때가 많이 생깁니다. 또 최근에는 부동산, 주식을 가르쳐달라고 이야기하는 지인들이 많아졌습니다. 저는 이런 상황이 너무 좋습니다. 경제금융을 공부하며 규니는 너~무 좋은 취미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삶까지도 더욱 윤택해졌기 때문에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에게도 나누고 싶은 마음이 항상 많았거든요. 그런데 식사자리에서 툭툭 나오는 이야기로는 결국 "그래서 뭐 사?", "너 얼마 벌었어?"와 같은 이야기로 밖에 흘러가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공부를 하고 싶지만 마음처럼 잘 안되는 친구들을 위해 여러 주제로 글을 이어나가 볼까 합니다. 또 친구.. 2024. 3. 31.
[ETF] NASDAQ100 (나스닥100) 지수와 ETF(QQQ, QQQM 등)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S&P500 지수 추종 ETF 편에 이어 나스닥 지수와 나스닥 ETF에 관한 글을 준비했습니다. S&P500 보다는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수익률(변동성)은 훨씬 좋은 나스닥 지수 추종 ETF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이전 글을 읽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 해주세요! [주식/ETF 투자] - [ETF] S&P500 지수와 ETF(SPY, VOO, IVV, SPLG 등) [ETF] S&P500 지수와 ETF(SPY, VOO, IVV, SPLG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지수추종 ETF에 대한 글을 준비했습니다. 저는 스무살 때부터 조금씩 주식투자를 해왔는데요. 개별 주식의 쭉쭉 오르는 짜릿함도 너무 좋지만, 떨어질 때는 또 kyuny-jinny.tist.. 2023.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