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배당주8

[생각정리 #31] 복리의 마법 = 씨드머니x수익률x시간 복리의 마법 = 씨드머니x수익률x시간 1) 씨드머니어릴 때의 한 푼, 두 푼이 나중에 큰 돈이 된다. 젊을 때 조금 절약하고 저축하면 훗날 든든해진다. 지금 10만원 아껴 투자하면 나중에 200만원, 300만원 된다. 2) 수익률수익률 1%, 2%에 따라 복리의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차이난다. 너무 위험한 투자도 위험하지만, 너무 보수적인 투자도 위험하다. 우량한 자산을 선택하고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목표 수익률을 설정해보자. 3) 시간어린 친구들이 가장 컨트롤하기 좋은 게 시간이다. 그냥 빨리 시작하자. 워렌버핏이 대단한 이유는 10대에 투자를 시작해서 90대까지 80년째 장기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부부의 경우 1)연 5000만원 이상 매수하고 2)미국 지수ETF 위주로 10~12%.. 2024. 11. 8.
[생각정리 #30] 개인 투자자(개미)의 적, 기관과 고래, 그들과 “싸우지 않을 결심” 개인 투자자(개미)의 적, 기관과 고래, 그들과 “싸우지 않을 결심” 주식 투자에서 개미의 적은 누구일까. 기관, 고래 투자자, 헷지펀드, 외국인이지 않을까 싶다. 나는 이들과 싸워서 이길 자신이 없다. 어쩌다 한번 이길지언정, 여러번 이길 능력이 내게는 없다. 나보다 더 많은 지식과 정보, 더 빠른 속도를 평범한 직장인인 내가 이기기란 굉장히 어렵다. 그래서 나는 그들과 싸우지(단기 매매) 않기로 했다. 그들의 싸움을 구경하기로 했다.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우량한 자산을 모으고 장기 보유하는 것.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하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실행하고 통제불가능한 영역은 깔끔하게 포기하는게 더 낫다. 더 큰 부자가 될지 못할지라도, 나는 차트 볼 시간에 와이프랑 깔깔대며.. 2024. 11. 8.
[생각정리 #29] 돈 버는 기계를 만들지 못하면 내가 평생 돈 버는 기계가 된다. 돈 버는 기계를 만들지 못하면 내가 평생 돈 버는 기계가 된다. 경제금융 시스템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가장 큰 깨달음은, 나 대신 돈을 벌어줄 기계(나는 자판기라는 표현을 좋아한다.)를 마련하지 못하면 그 역할을 평생토록 내가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 대신 일해줄 자판기를 열심히 만들고(모으고) 있다. 그게 내게는 ETF이다. S&P500과 나스닥100, 그리고 배당성장ETF인 SCHD이다. 뭐가 가장 효율적인지, 가장 멋있는지보다는 ‘커피 자판기’, ‘탄산음료 자판기’, ‘이온음료 자판기’를 놓는다는 생각으로 다양하게 그냥 한 대, 두 대 모아가고 있다. 어느 시점에 누가 조금 더 잘 나가고 못 나가고 보다는, 나 대신 돈을 벌어주는 자판기를 모아간다고 생각하니 주가의 등락보다는 계속 모아가는 .. 2024. 11. 8.
[생각정리 #19] 원달러 환율 변화의 변인 3가지 원달러 환율 변화의 변인 3가지 1. 미국과 한국의 경제 성장- 기축통화 여부를 떠나서 일반적으로, 앞으로의 경제 성장이 더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의 통화가 더 강하다. 미국과 한국 누가 더 강하고, 강했으며, 더 강해질까? 2. 달러 공급량- 달러의 공급량이 늘어나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고, 반대로 공급량이 줄어들면 달러의 가치가 높아진다. 달러 통화량에 집중해야하는 이유이다. 3. 세계 경제의 향방- 경제가 위험에 빠지는 순간, 안전자산이자 기축통화인 달러의 선호도는 크게 높아진다. 또 세계 경제가 위험에 빠지는 순간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한국은 이미 기절이다. 환율을 결정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있지만, 그 변인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크게 다르지 않다. 내가 매달 열심히 일해서 번 원화를 달러화로 바.. 2024.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