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공부/생각 정리39

[생각정리#7] 사실 부자 되는 방법은 있다?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오늘은 조금은 불편(?)하지만 사실인 내용을 나누어볼까 합니다. 부자되는 방법, 투자로 성공하는 방법이 있다고 믿으십니까?누군가는 '돈 버는 방법이 있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사기꾼'이라고 단언합니다.저 또한 금융문맹이던 시절에는 사기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 그러면, 이렇게 생각을 해볼까 합니다. 첫번째, 공부공부 잘하는 방법은 있을까요? 없을까요?디테일한 부분에서는 공부를 잘하는 사람의 수만큼 잘하는 꿀팁이 다르게 있겠지만,전체적인 부분에서는 비슷한 맥락이 있을 것 같네요. 예습을 열심히 한다. 복습을 열심히 한다. 수업에 집중한다. 반복해서 문제를 풀어보고, 틀린 부분을 매꾸어 나간다.힘들어도 버티고 공부한다. 놀고 싶은 마음 참고 공부한다. 등등.. 당연하고 뻔한 공부를 .. 2024. 8. 28.
[생각정리#6] 국민연금 어떻게 해야할까?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최근 핫한 주제죠.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어떤 정치적인 지지를 하고자 함이 아닙니다. 건전한 기금 운용에 대한 생각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주셨으면 좋겠습니다.#1.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구조- 국민연금을 이해하려면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보험료율은 내 급여(월평균소득인정액)의 몇 %를 연금 재원으로 납부하는지를 의미하고,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 수급자가 퇴직 전의 소득에 대비하여 몇 %에 해당하는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국민연금이 처음 도입되던 1988년에는 3%의 보험료율에 70%의 소득대체율을 보장받았습니다. 3%를 내고 70%의 연금을 보장받는..지금으로는 말도 안되는 부분이죠. 여기에서부터 국민연금의 설계가.. 2024. 5. 31.
[생각정리#5] 저항 없는 세금, 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한 가지 관점을 공유하고, 추상적인 인플레이션을 조금 더 직관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1. 세금을 높이면 표가 떨어지지만, 인플레이션은 표가 안떨어진다.- 국가에서 돈이 필요할 때, 돈을 마련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번 증세. 세금을 늘리는 것이다. 세금을 높여 더 많은 세수를 확보하면 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한 가지 함정이 있다. 그 어느 나라에서도 국민들은 증세를 반기지 않는다. 부자 증세, 기업 증세를 외치던 사람도 내가 낼 세금이 5만원이라도 늘면 노발대발 하게 되는 것이 바로 세금이다. 세금을 올리면 곧장 지지율이 떨어지고, 정치인들은 사회 정의 실현보다는 표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에 이 방법을 선호하지 않는다.- 2번 국채.. 2024. 5. 27.
[생각정리#4] 내가 내 생일을 챙기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저는 제 생일을 딱히 챙기지 않습니다. 어느 SNS든 생일과 관련된 알림이 나오지 않게 설정해두고, 주변에도 이야기하지 않다보니 주변 사람들도 딱히 제 생일을 챙기지 않습니다. 지니도 이제는 제 생일에 신경을 쓰지 않고 유일하게 우리 장모님만 맛있는거 사주신다며 연락이 옵니다 ㅋㅋ. 제가 제 생일에 크게 의미부여하지 않는 이유들에 대해 짧은 글을 써볼까 싶어요.#1. 오고 가는 기프티콘, 선물. 누군가에게는 부담-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이 활성화되며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들 사이에서도 선물 하나씩 보내기가 참 간편해졌습니다. 그래서인지 매년 생일이면 친구들과 서로 선물을 주고 받는 것이 하나의 문화처럼 되었습니다. 때로는 친구들끼리 돈을 모아 선물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제가 전역.. 2024.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