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
2월에는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가족 내의 경사와 조사가 함께 있었는데요. 세상엔 중요한 것이 참 많지만, 역시 내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만한 것이 없다는걸 느끼는 한달을 보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도 뻔하지만 중요한 이 이야기를 잊지 않고 살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편 바로가기 ☞
[주식/연금저축펀드] -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5년 1월 결산)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5년 1월 결산)
안녕하세요. 규니입니다.2025년의 첫 달이 순식간에 지나가버렸어요. 이렇게 12달이면 또 1년이 끝나겠지요?이번 달에는 지니와 함께 약 3주간 이탈리아 여행을 다녀왔어요.그래서 사실 주식계좌
kyuny-jinny.tistory.com
1. 25년 2월 추가 매수 현황
2025년 2월 연금저축펀드 매수 | 자산 운용사 | 매수 현황(주) |
S&P500 |
ACE | - |
RISE | 2 | |
KODEX (H) | 69 | |
나스닥100 |
ACE | - |
RISE | - | |
KODEX (H) | 55 | |
미국배당다우존스 | TIGER | - |
SOL | - | |
빅테크 (배당 재투자 / 공모주 수익금 투자) |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 2 |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 1 |
- 이번 달에는 새로운 종목이 들어왔습니다. 바로 KODEX 미국S&P500(H)와 KODEX 미국나스닥100(H)입니다. 기존의 S&P500, 나스닥100 ETF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원달러환율에 노출되지 않는 헷지형 ETF인데요. 수수료는 일반 상품보다 다소 비싸지만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원달러환율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합니다.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의 장기적인 성장성보다는 미국의 성장성이 더 크고 원화보다는 달러가 장기적으로 더 가치가 있기 때문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환율의 레벨이 과도하다 생각되어 환헷지형 ETF를 매수했습니다. 현재 계획으로는 원달러환율 1350원까지는 환헷지형 ETF를 매수하고 1350원이 되면 전체 매도 후 환노출형 ETF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글을 쓰는 현재 기준 원달러환율이 1463원인데요. 1346원이 되면 환차손만 약 8%입니다.
- 이번 달에는 연말정산 환급금이 일부 들어왔는데요. 이 금액에 매달 적립 금액을 더 하니 2월에는 총 1,981,487원을 입금했네요! 연금 계좌를 운용하여 세금 혜택을 받고, 연말정산 환급금을 다시 연금계좌에 투자함으로써 연금계좌의 혜택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2. 2월 28일 장마감 연금 계좌 현황
연금저축펀드 | 총 평가 | 총 입금 | 총 손익 (배당 포함) |
24년 12월 | 30,498,580원 | 22,435,808원 | +8,062,772원 |
25년 1월 | 31,367,540원 | 23,261,720원 | +8,117,347원 |
25년 2월 | 32,317,960원 | 25,243,207원 | +7,074,753원 |
- 이번 달에는 증시가 크게 조정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입금한 금액은 크지만 총 평가금액은 별로 늘지 않았죠. 또 총 손익이 약 110만원 증발했습니다. 연금계좌 뿐만 아니라 ISA, 일반계좌까지하면 이번 달에 거의 저희 부부 월급이 증발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에 흔들리지 않으려 시작한 적립식 지수ETF 매수이기 때문에 별다른 타격 없이 잘 지내고 있습니다.
- 한달간 환율이 약 0.35% 상승한 것을 고려하면 실제 하락폭은 더 큰데요. 반대로 증시의 하락에 환율까지 함께 빠진다면 계좌가 난리 날 것 같습니다. (물론 이때는 줍줍의 기회가 되겠죠?)
3. 정리
- 노후 준비가 어려운 분들이 주변에 여전히 많은 듯 합니다. 글로는 참 쉽지만 실행이 어려운가봅니다. 이해합니다. 20~30년 뒤의 나를 위한 준비라는게 당연하면서도 상당히 막연한 부분이 있죠. 하지만 막연하다고 내려놓으면 그 후폭풍은 결국 우리가 맞게 되겠지요. 매일 아침 일어나 씻고 하루를 시작하는 것처럼, 연금투자 또한 우리 삶의 루틴으로서 당연한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습관을 들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 2025년 2월 기준으로 저희 부부가 공무원연금을 납입한지 딱 6년(72개월)되었습니다. 지난 6년간 저희 부부는 총 43,369,960원의 본인 부담금을 납부했어요. 이제 서른이 된 저희가 낸 것 치고는 제법 큰 금액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공무원 생활을 이어가며 아마 몇억원이 되는 연금을 납부하게 될텐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연금을 믿고 노후준비를 안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공무원연금은 하나의 보험으로 생각을 하며 앞으로도 연금저축펀드와 퇴직연금 IRP를 잘 굴려가봐야겠습니다. 연말정산 이슈로 지니의 환급금(약 280만원)은 7월에나 들어온다는게 안타까운 지금의 조정입니다~!
'주식 > 연금저축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5년 2월 결산) (1) | 2025.04.03 |
---|---|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5년 1월 결산) (1) | 2025.02.04 |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4년 12월 결산) (3) | 2025.01.01 |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4년 11월 결산) (4) | 2024.11.30 |
[연금저축펀드] 평범한 직장인 부부의 연금 준비(24년 10월 결산) (15) | 2024.11.01 |
댓글